<p></p><br /><br />[강경화 / 외교부 장관 (그제)]<br>"일 천황의 방한에 있어서는…"<br><br>[심재권 / 더불어민주당 의원(그제)]<br>"정부가 천황으로 표기한다는 걸 처음 알게 된 거 같습니다."<br><br>[이정현 / 무소속 의원 (그제)]<br>"황제라고 부르는 것이 입에서 잘 안 나오거든요."<br><br>그제 있던 국정감사에서는 일본국왕을 '천황'으로 부를지, '일왕'으로 불러야 할지를 두고 엇갈린 주장이 나왔는데요. <br><br>천황과 일왕, 둘 중 어떤 게 정부 공식명칭이 맞는지 따져보겠습니다. <br><br>먼저, 천황을 직역하면 '하늘의 황제'라는 뜻인데요.<br><br>메이지 유신 이후 통치 권한을 갖게 됐지만, 지금은 실질적인 권한은 없습니다.<br><br>우리나라는 김대중 정부부터 "상대국 호칭을 따르는 게 외교적 관례"라며 공식 명칭을 '천황'으로 정했는데요. <br><br>확인해보니 일본과 전쟁을 치른 중국 등도 '천황'이란 표현을 쓰고 있고, 미국과 프랑스 등도 'King'이 아닌 'Emperor'로 쓰고 있습니다. <br><br>'천황'이란 표현에 대해 '친일매국'이라며 비판했던 북한은 어떨까요?<br><br>[안찬일 / 세계북한연구센터 소장]<br>"전근대적인 왕조 체제에 머물러있다, 이런 걸 강조하기 위해서 천황제를 그대로 표현합니다."<br><br>전근대적인 호칭 또한 비판의 대상이기 때문에 그대로 쓰고 있다는 건데요. <br><br>하지만 시민사회와 언론 모두 격상의 어감이 있는 '천황'이라는 표현 대신 '일왕'이라는 표현을 쓰고 있습니다. <br><br>시민 사회나 언론 모두 정부의 공식 표기법을 따를 의무가 없어서 '일왕'이란 표현을 써도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입니다.<br><br>전문가들은 어떻게 보고 있을까요.<br><br>[김광열 / 광운대 국제학부 교수]<br>"대일본제국 헌법 하의 천황과 지금의 천황은 엄연히 다르므로 단순한 고유명사로 따옴표를 붙여서 사용을 해도 되지 않나 생각합니다."<br><br>'천황'이란 용어를 쓴다고해서 일본의 제국주의 역사까지 용인하는 건 아니라는 건데요.<br><br>이때문에 '일왕'이란 표현을 쓰는 언론 매체와 달리 문재인 대통령과 이낙연 총리도 천황이란 용어를 쓰고 있습니다. <br><br>따라서 종합하면, 국민 정서와 다소 괴리는 있지만 고유명사로서 '천황'이란 용어는 정부의 공식명칭 맞습니다.<br><br>이상 팩트맨이었습니다.